INFRA

네트워크 프로토콜

veee2 2024. 9. 5. 20:41

가. TCP/IP 프로토콜 스택

1. 전송 계층 : TCP와 UDP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메시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하는 프로토콜
  • TCP 특징
    • 연결 지향 방식으로 패킷 교환 방식을 사용
    • 3-way handshaking 과정을 통해 연결을 설정하고 4-way handshaking을 통해 해제
    • 흐름 제어 및 혼잡 제어
    • 높은 신뢰성을 보장
    • UDP 보다 속도가 느림
    • 전이중(Full-Duplex), 점대점(Point to Point) 방식
    • 예) 원격 로그인, 파일 전송 등

  • UDP (User Datagram Protocol) : 데이터를 데이터그램 단위로 처리하는 프로토콜
  • UDP 특징
    • 비연결형 서비스로 데이터그램 방식을 제공
    •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정보를 보내거나 받는다는 신호절차를 거치지 않음
    • UDP 헤더의 CheckSum 필드를 통해 최소한의 오류만 검출
    • 신뢰성이 낮음
    • TCP 보다 속도가 빠름
    • 예) 음성 전화, fax, sms 등

2. 응용 계층 : HTTP, FTP, DNS

  •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웹 상에서 웹 서버 및 웹 브라우저 상호간의 메시지 전송을 위한 응용계층 프로토콜
    •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하이퍼 텍스트 문서를 송 수신하는 프로토콜
    • HTTP 통신에 사용되는 포트 번호는 80
  • FTP (File Transfer Protocol)
    • FTP는 인터넷에서 파일을 전송하는 기본 프로토콜
    • 사용자 인증, Data의 전환, 디렉터리 검색 등과 같은 많은 기능 및 선택사항 제공
    • FTP는 보통 Cli/Svr 관계를 이루며 동작
    • 2개의 TCP 연결을 사용(Data 전달 시 : 20, 제어정보 전달 시 : 21)
  • DNS (Domain Name System)
    • 호스트에 대한 이름 주소 변환을 위한 분산 DB시스템(IP와 Host이름이 서로 연결된 분산 구조화된 트리구조)
    • DNS 질의 및 DNS 응답을 위한 사용 포트 및 수송용 프로토콜
      • DNS를 위한 포트번호는 53이며, 대부분 UDP를 통해 전달
      • 메시지 크기가 512Byte이하이면 UDP 사용, 그 이상이면 TCP 사용

나. 네트워크 프로토콜 기본

1.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IP 주소를 MAC 주소와 매칭시키기 위한 프로토콜
  • 사용 이유 : 로컬 네트워크에서 단말과 단말 간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IP 주소와 함께 MAC 주소를 이용하게 되는데, IP 주소를 MAC Address와 매칭하여 목적지 IP의 단말이 소유한 MAC 주소를 향해 제대로 찾아가기 위함임

2.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 디바이스에서 네트워크 통신 문제를 진단하는 데 사용하는 프로토콜
  • 네트워크 관리자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 프로토콜을 사용